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 및 정·재계를 통틀어 구성된 범시민협의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아시안게임조직위의 조직운영에 대한 인천지역 시민사회의 우려가 2013 인천실내.무도아시안게임에서 현실로 드러났다”며 “인천시와 조직위간 소통부재의 원인은 단순한 시스템 문제가 아니라 인천시가 주도적으로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에 있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조직위의 핵심부서에는 중앙정부에서 파견한 인사를 중점 배치하고, 인천시 파견 공무원들은 결정된 사항을 실무적으로 처리하는 수준의 역할 분담 구조로 운영되는 시스템상 문제를 꼬집었다.
또 “아시안게임 전체 소요비용 3조2739억중 현재 중앙정부 지원비율은 24%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중 대회운영비는 5454억으로 재정분담비율은 중앙정부 1636억, 인천시 1436억, 민자 등 수익금 2382억이다. 적자운영 시 그 모든 책임도 인천시 몫”이라고 덧붙였다.
협의회는 “AG개최도시의 수장인 인천시장이 개.폐회식에서 축사 한마디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아시안게임의 성공 개최를 위해서는 정부와 인천시가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를 공동위원장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협의회는 지난 5월 인천지역 시민사회의 모든 역량을 모아 ‘2014인천아시안게임·장애인아시안게임 범시민지원협의회’를 출범시켰지만 아시안게임조직위가 진정한 파트너로서 존중하고 협력하지 않았다며 “이번 대회에서 쏟아진 문제점을 진정으로 수렴하고 일방독주 시스템을 재정비하는 환골탈태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