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휴가철 물놀이 안전사고 미리 예방하자

2013-07-23 10:35
  • 글자크기 설정
안산소방서 원시119안전센터 소방교 노정훈

(사진=안산소방서 원시119안전센터 소방교 노정훈)
매년 이맘때면 소방서와 언론 등에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에 대해 홍보를 하고 있지만 물놀이 안전사고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최근 뉴스에서 보다시피 바닷가 익수사고와 갑자기 불어난 물에 고립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올해도 무더운 여름이 예상되고 휴가철이 되면서 많은 사람이 계곡이나 바다를 목적지로 떠나고 있다.

물놀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보면 대부분 안전수칙 미준수, 안전장비 미착용, 음주 수영 등 부주의에서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즐거운 마음으로 떠난 휴가지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한다면 결코 즐거운 여행이 되지 않을 것이다.

물놀이 안전사고는 기본적인 안전수칙만 준수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며 물놀이할 때 다음의 안전수칙을 준수하기 바란다.

첫째, 물놀이를 가기 전 여행 가는 곳 날씨를 확인하고 그곳의 안전 상태나 유사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설 여부를 확인한다. 계곡이나 하천으로 여행을 간 경우 갑자기 불어난 물로 인명사고 및 고립이 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일기예보를 확인하지 않고 가기 때문이다.

둘째, 물놀이할 때 주의할 점은 우선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고 물에 들어가기 전 손, 발, 다리, 얼굴, 가슴 순으로 심장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부터 물을 적신 다음 천천히 들어가야 한다. 물놀이 도중 입술이 푸르거나 피부에 소름이 돋으면 저체온증상을 의심하며 즉시 물 밖으로 나와야 한다. 물놀이 시간과 쉬는 시간을 정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셋째, 깊은 물에 들어갈 경우에는 반드시 안전요원이 있는 주변에서 물놀이하여야 하며,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하여야 한다. 바다 수영은 실내수영과 달라서 파도나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할 수 있으며 절대 수영실력을 자랑하지 말고 안전장비를 반드시 착용한다. 또한,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였을 때는 밧줄이나 튜브 또는 주변의 긴 막대기를 이용하여 구조하고 안전요원에게 알려야 한다. 물론 119에 신고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하며 심폐소생술 등 기본응급처치를 알아두면 유사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안전하고는 대부분 보호자와 떨어져 있을 때 발생하고 있다. 아이들은 주의력이 떨어져 한 가지에 몰두하면 다른 것을 의식하지 못하므로, 어린이와 물놀이를 할 때는 반드시 보호자가 곁에 있어주며, 튜브나 구명조끼 등을 착용시켜야 한다. 식사 직후 물놀이를 삼가야 하며 열이 나거나 피곤할 때 햇볕이 너무 뜨거울 때도 물놀이를 피해야 한다. 어린이와 동행한 물놀이에서 보호자는 절대 경계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안전교육을 받아왔고 대부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설마하는 생각에 안전수칙을 무시한 채 행동하고 있지 않은지 다시 한 번 생각할 필요가 있다. 가족들이나 연인, 친구들과 즐겁게 보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올해 휴가철에는 물놀이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즐거운 휴가를 보내기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