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부동산컨설팅사 세빌스에 따르면 2분기 서울 프라임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10.7%로 전분기 1%포인트 상승했다.
프라임 오피스 빌딩이란 연면적 3만㎡ 이상으로 위치·접근성·가시성·인지도·임차인·준공연도·빌딩시설·관리상태 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빌딩을 말한다.
권역별로는 중심권역이 15.6%로 전분기보다 0.4%포인트 올랐다. 강남권역(4.2%)과 여의도권역(10.3%)은 각각 1.7%포인트, 0.9%포인트 상승했다.
세빌스코리아 리서치&컨설팅 본부 홍지은 상무는 “기업들의 증평 및 신규 오피스 개설로 중심권역 수요가 증가했지만 N타워 준공으로 공실률이 높아졌다”며 “강남권역은 임차인들의 외부권역 이전하고 여의도권역은 일부 금융사들의 지점 폐쇄 및 감평 등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울 프라임 오피스의 2분기 3.3㎡당 평균 월 임대료는 16만36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2% 증가했다. 중심권역과 강남권역 6개 빌딩 평균 임대료는 약 2~4% 인상했지만 여의도권역 IFC는 임대료를 10% 가량 인하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피스 빌딩 매매거래는 2분기 총 9건으로 나타났다. 거래금액은 약 1조4900억원으로 1분기보다 5900억원 가량 늘었다.
중심권역은 대우건설신문로사옥과 트윈트리타워, 강남권역은 삼성생명대치2빌딩이 거래됐다. 대우건설신문로사옥, 신도림 디큐브시티 오피스동, 논현동 두산빌딩 등은 세일앤리스백 옵션이 적용돼 기업들의 유동성 확보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임 오피스의 수익률은 5%대 초반으로 전분기와 비슷했으며 중·소형 오피스 빌딩 수익률은 6~8%대로 추정됐다.
홍지은 상무는 “현재 진행 중인 거래사례만 감안해도 3분기 거래규모는 전년 동기인 약 1조 5000억원 규모와 비슷할 것”이라며 “공실률 리스크에도 최근 기업들의 자산유동화 전략과 프라임 오피스 빌딩의 안정적인 수익률로 당분가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