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의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는 15일 우리금융 계열사인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매각 절차를 공고한다. 숏리스트(적격 입찰자) 작성과 예비 입찰, 실사, 본입찰 등의 절차를 고려하면 우선협상대상자는 이르면 11월경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의 인수 추정가액은 각각 1조2000억~1조3000억원, 1조1000억~1조2000억원이다.
경남은행에는 BS금융지주(부산은행)와 DGB금융(대구은행)이, 광주은행에는 JB금융(전북은행)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중국공상은행 등 일부 외국계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 경남과 전북 지역 상공인들도 우선협상권을 달라고 정부에 요구하는 등 지방은행의 지역 환원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최고가격 낙찰을 최우선으로 삼는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의 경우 다음달 초쯤 매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인수가격은 1조3000억~1조5000억원에서 형성될 전망이다.
우리아비바생명, 우리자산운용 등을 함께 묶어 파는 방식으로 인수 후보에는 농협, KB금융, 현대차그룹 계열의 HMC투자증권, 교보생명이 꼽힌다. 농협금융의 경우 임종룡 회장의 지시에 따라 이미 지주사와 농협증권에 인수 전담팀을 구성하고 법률·재무 검토에 착수한 상태다.
우리은행은 내년 1월 매각 절차에 나선다. 프리미엄을 합하면 인수가격은 약 5조~6조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KB금융, MBK파트터스, 교보생명, 농협이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예금보험공사의 우리은행 보유 지분 56.97%를 모두 파는 방안과 30% 이상 매각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우리은행 역시 최고가 입찰이 원칙이다.
한편 정부가 우리금융에 지원한 공적자금과 이를 위한 재원 마련차 발행한 예보채 이자 등을 합하면 우리금융에 투입된 자금은 18~19조원에 달한다. 현재까지 회수된 공적자금은 5조7497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