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별 서비스 교육·훈련 강화
그동안 제조업 위주로 운영되던 폴리텍, 고교·대학교육 과정, 취업지원 등 기존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선이 이뤄진다.
청년, 재직자, 실업자, 은퇴자 등 생애주기를 감안해 서비스산업 융합분야를 중심으로 인력 양성체계가 구축된다.
교육부와 미래부는 SW, ICT 분야에 마이스터고(전체 38개교 중 서비스분야는 현재 뉴미디어콘텐츠 1교 불과)를 추가 지정할 방침이다. 전국단위 학생모집, 학비 전액면제 등으로 우수학생을 선발하고 맞춤형 산학협력을 통한 취업지원을 실시한다.
또 교육부와 관세청은 내년부터 FTA 분야 등 정부부처 연계형 특성화고 육성을 계획 중이다. 고용부는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도제제도)’ 활성화로 창조 서비스 특화인력 양성을 진행한다.
내년부터는 폴리택 대학에서 서비스분야 기술·기능 자격증 취득 지원을 위해 서비스분야 신규과정 신설 및 학과 개편이 단행된다.
대학은 특성화를 통해 인터넷신산업, 산업기술, 콘텐츠, 보건 등 전문 인력을 육성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전문대학에서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NCS) 운영으로 현장성 높은 전문직업인을 매년 15만명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대학학과 개편도 이뤄진다. 변화하는 산업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학·전문대학 학과를 개편하는 것이다. 관광, IT 등 산업현장 인력수요 증가분야 대학정원 확대 유도에 나선다.
2015년부터는 학과별 특성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키 위해 전문대학 수업연한과 학위과정을 다양화 시킨다. 학과 특성에 따라 2~3년인 수업연한을 1~4년으로 확대하고 비학위과정, 전문학사학위, 학사학위로 학위과정이 구분된다.
기업에서는 고졸채용예정자 및 재직자를 대상으로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업대학(현재 8개) 설립이 확대된다.
실업자‧은퇴자 재취업 지원은 e러닝 시스템을 도입해 재직자의 교육훈련과정 이수 및 은퇴자 창업컨설팅을 지원한다.
◆직업 분류 및 서비스 신규 직종 발굴
잠재수요가 높은 신규 서비스업을 발굴해 직업훈련 및 자격제도와 체계적으로 연계·실시를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선진국 직업비교·분석을 통해 우리 여건상 도입 가능한 신규 서비스 직종 발굴에 나선다.
2014년부터는 능력과 교육·자격간 연계 강화를 위해 유망 서비스업종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실업자 훈련을 고부가가치서비스 분야로 확대하기 위해 훈련직군에 서비스산업 직군도 신설된다. 이와 함께 전략산업 직종 중 콘텐츠, 물류를 서비스산업 직군으로 이전하고 광고, 출판, SW 개발 등을 서비스산업 직군에 추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