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위드유 출범

2013-07-04 17:21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LG유플러스가 장애인 고용 활성화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적극 실천한다.

LG유플러스는 4일 서울 금천구에 위치한 LG유플러스 시흥고객센터에서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위드유 출범식을 개최했다.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모회사가 장애인을 고용할 목적으로 설립한 자회사로, 모회사가 업무특성 등의 이유로 장애인의 직접 고용이 힘들 경우를 위해 떠오른 대안이다.

모회사가 최소 10명의 장애인 고용, 상시 근로자 중 장애인 비중 30% 이상, 상시 근로자 중 중증장애인 비중 15% 이상 등의 요건을 갖춘 자회사를 설립할 경우 모회사가 장애인을 고용한 것으로 간주해 정부가 설립·운영 자금을 지원한다.

위드유 출범식에는 LG유플러스 이상철 부회장을 비롯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성규 이사장, 한양희 ㈜위드유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테이프커팅과 현판식이 진행됐다.

사업장명인 ‘위드유’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 없이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세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LG유플러스는 2011년 11월 장애인고용공단과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을 체결하고, 이사회 의결, 법인등기, 장애인 고용을 마친 후 이번에 출범식을 갖게 됐다.

위드유는 이동통신 가입서류 검수, 온라인 마케팅 활동 모니터링, 착하불량 단말기 검수 등 LG유플러스에 사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위드유는 고객 사은품 배송업무 등 서비스 영역을 순차적으로 확장함은 물론 장애인 채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상철 부회장은 “IT는 장애인들이 사회로 향할 수 있는 창”이라며 “IT를 기반으로 장애인들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게 되면 고용은 저절로 따라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드유 한양희 대표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장애인들이 사회의 어엿한 구성원으로 자립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장애가정 청소년들의 자립기반 형성을 지원하는 ‘두드림 U+요술통장’, 장애청소년들이 IT를 통해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IT챌린지’ 등 장애청소년들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위드유 출범식에서 LG유플러스 이상철 부회장(왼쪽에서 세번째)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성규 이사장(왼쪽에서 네번째)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