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내륙고속철도 포럼은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이 대거 참여해 물류와 관광철도의 대동맥을 건설하자는 취지로 탄생했다. 중부내륙선(이천~문경), 남부내륙선(김천~거제)을 연결하자는 내륙고속철도망 구상이 바로 그것이다.
포럼에는 국회 예결위원장인 이군현 의원(통영·고성)을 비롯해 노철래(광주), 여상규(사천·남해·하동), 김종태(상주), 김종훈(서울 강남), 김한표(거제), 유승우(이천), 이완영(고령·성주·칠곡), 조현룡(의령·함안·합천), 이철우(김천), 윤진식(충주) 등 국회의원과 중·남부 내륙철도 인접지역 시장, 군수 등이 참여했다. 철도 관련 연구기관 및 전문가들이 준회원으로 가입했다.
포럼은 앞으로 내륙고속철도 건설을 뒷받침하기 위한 입법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중부내륙선과 남부내륙선이 조기에 건설될 수 있도록 정부에 촉구하고, 정책세미나를 열어 내륙고속철도 건설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도 확산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내륙고속철도망 구축은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내륙고속철도망의 한 축인 중부내륙선은 현재 설계 중이고, 남부내륙선은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돼 있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넘어야 할 어려움도 많다. 현재 기획재정부는 복지재원 마련을 위해 앞으로 5년간 신규 철도사업에 대해서 세금을 투입하지 않기로 정책방향을 잡고 있다. 신규 사업은 최소화 하고 기존 투자계획도 전면 재검토해 향후 2017년까지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에서 12조원을 절감할 계획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민 대통합과 지역균형발전을 뒷받침하는 철도사업을 막대한 재정이 수반된다는 이유만으로 기피하거나 축소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며 철도사업 추진이 꼭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내륙고속철도망 한 축인 남부내륙선은 47년 전인 1966년 11월 고 박정희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기공식까지 했다. 남부내륙선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김천~삼천포(사천)까지의 '김삼선'이다. 고 박정희 대통령은 당시 기공식에서 지역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철도는 건설되지 못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말 대선 유세 기간 중 경남 내륙지역을 방문하여 당시 '김삼선' 사진을 보고 귀한 사진이라고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김천에서 거제까지 이어지는 남부내륙선 조기 추진은 박 대통령의 경북지역 대선공약이다. 부친이 이루지 못한 숙제를 박 대통령이 떠안은 셈이다. 부녀 대통령이 남부내륙선 철도와 인연을 맺고 있다.
또한 박 대통령은 작년 말 대선과정에서 충주를 방문해 이천~충주~문경을 잇는 중부내륙선 복선화를 '맡겨달라'며 실천을 약속했다. 충북·경북지역 대선공약으로 제시했다.
운명처럼 부녀 대통령이 내륙고속철도의 근간을 이루는 남부내륙선·중부내륙선과 인연을 맺고 있다. 대선공약으로 제시된 이들 철도노선의 건설에 내륙 주민들의 관심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