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카이스트와 미래 신기술 개발

2013-06-21 11:08
  • 글자크기 설정

에너지·환경·물·지속성장 관련 공동연구 진행<br/>‘HK연구센터’ 설립, 미래 신사업 기반 구축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현대중공업이 미래 신기술 확보를 위해 카이스트(KAIST)와 손을 잡았다.

현대중공업은 21일 오전 카이스트 본관에서 ‘현대중공업-카이스트 EEWS 연구센터’(이하 HK연구센터) 설립과 ‘에너지․환경분야 기술’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재성 사장을 비롯해 황시영 부사장(기술경영실장), 강성모 카이스트 총장, 연구센터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HK연구센터는 현대중공업(HHI)과 카이스트(KAIST)의 이니셜을 딴 것이다. 인류가 당면한 문제인 ‘EEWS’, 즉 에너지(Energy), 환경(Environmemt), 물(Water), 지속 가능한 성장(Sustainability) 분야의 원천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해당 기술의 사업화 모델을 만들어 현대중공업의 미래 신사업 기반을 구축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현대중공업은 HK 연구센터에 향후 5년간 연구개발 비용과 연구센터 운영경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황 부사장 등 현대중공업 관계자들은 카이스트 EEWS 기획단을 방문해 공동개발 과제 선정을 위한 워크숍을 진행하고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박 ▲태양광 발전 ▲에너지 저장 ▲연료전지 ▲탄산가스 포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현대중공업은 HK연구센터 설립과 산학협력을 계기로 조선·해양·플랜트·엔진·전기전자·건설장비·그린에너지 등 7개 주력 사업분야와 관련한 첨단기술을 개발하고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지난 2009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시작한 카이스트는 EEWS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첨단연구를 수행하며 최근 5년간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물 24건을 확보하고 매년 200여 명의 관련분야 석·박사급 연구 인력을 배출해 왔다.

황 부사장은 “카이스트는 수요자 중심의 실질적인 연구에 매진할 수 있고 우리는 공동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미래 신사업에 대한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1년 3월 스마트십(Smart Ship) 시스템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공동으로 개발하는 등 활발한 산‧학‧연 협력으로 최첨단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