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사외이사, 10명중 4명 '관료·법조인 출신'

2013-06-20 11:23
  • 글자크기 설정

안건 찬성률 99.8%…평균 연봉 5000만원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금융지주사의 사이외사 10명중 4명이 관료와 법조인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보수는 평균 5000만원으로 집계됐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BS금융지주의 사외이사 42명 중 관료 및 법조인 출신은 16명이다. 전체의 38% 수준이다.

관료 및 법조인 출신 사외이사는 우리금융이 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B금융·BS금융(각 3명), 신한금융·하나금융·농협금융(각 2명) 순이다.

BS금융은 사외이사 5명 중 관료 및 법조인 출신으로 김성호 전 법무부 장관, 김우석 전 자산관리공사 사장,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있다.

우리금융의 경우 7명 중 이용만 전 재무부 장관, 박영수 전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이형구 예금보험공사 저축은행지원부장이 있다.

KB금융은 이경재 전 중소기업은행장, 배재욱 전 대통령민정수석실 사정비서관, 김영과 전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장이 사외이사로 있다.

하나금융에는 박봉수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비서관, 신한금융에는 남궁훈 전예금보험공사 사장, 농협금융에는 배국환 전 감사원 감사위원이 사외이사이다.

나머지 대부분 사외이사들도 정부 기관이나 위원회 위원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관치금융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지만, 정작 정부가 금융지주 회장 선임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금융지주의 사외이사들은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400여건의 안건을 처리했다. 하지만 단 1건(KB금융의 ING생명 인수안)을 제외하고는 모두 가결됐다. 통과율이 무려 99.8%에 달한다. 사외이사들에 대한 이른바 '거수기' 비판도 피하기 힘든 현실이다.

또 일부 금융지주사는 올해 사외이사 보수 책정액을 올렸다. 신한금융의 사외이사 1인당 보수는 지난해 6100만원에서 올해 6260만원으로 올랐다.

농협금융도 4575만원에서 5200만원, DGB금융지주는 1822만원에서 3400만원, BS금융지주는 3300만원에서 40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금융지주 중 사외이사 보수가 가장 높은 곳은 KB금융지주로 1인당 평균 7456만원이다.

금융지주사의 연평균 사외이사 보수는 5000만원 수준이다. 사외이사들이 1년에 10여 차례 이사회에 참석한다는 점에서 이사회 때마다 평균 500여만원을 받는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