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통달명창 한국에자랑 실력도 기네스, 감

2013-06-17 08:36
  • 글자크기 설정

-애향심도 기네스감-

아주경제 윤재흥 기자= 익산과 국악은 낯설다. 하지만 인간문화재(중요무형문화재)라는 육중한 타이틀을 가지고도 가장 대중적인 판소리 명창, 조관우의 아버지로도 더욱 친근한 조통달 명창은 바로 익산출신이다. 더욱이 TV 속에서 유쾌한 입담과 시원한 소리로 곧잘 만날 수 있고, 일년에 수십 차례 국내외공연을 다니는 조 명창이 현재 18년째 익산에 거주 중이다.

지난달 22일에 조 명창은 아들 조관우, 제자 유태평양, 힙합 현준과 세대와 장르를 뛰어넘는 공연을 익산에 선보이며 시민들에게 익산이 국악의 고장임을 일깨워주는 시간을 가졌다.

.조 명창은 “익산은 국악명창을 많이 배출한 곳으로 판소리에 정정열, 권삼득, 정춘풍, 신만엽, 유공열, 거문고에 신쾌동, 시조에 김월하 등 국악의 많은 선생님들이 태어나신 곳인데 이 선생님들께서 익산에 살지 않고 타지로 떠나 익산이 판소리의 뿌리를 내리지 못했기 때문이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한다.

현재 조 명창은 전북대학교와 전남대학교, 우석대학교, 백제예술전문대학, 목원대학교에 출강과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본가에 조통달판소리 전수관을 운영하며 하여 유태평양 등을 비롯한 많은 젊은 후학들을 지도하며 바쁜 생활로 하루하루를 보낸다. 또한 사단법인 세종전통예술진흥회의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통달 명창은 순천 정원박람회 6월 특별공연으로 ‘조통달의 판소리’ 공연과 오는 22일 익산시 청광교회에서 ‘찾아가는 문화공연’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조통달은 일찍이 1952년 8살의 나이로 전국명창대회에 출전해 우승을 거머쥔 타고난 명창이었다. 친이모인 박초월명창과 임방월 선생으로 다섯 살 때부터 소리를 배웠다. 13세 때(1959년) 전국명창대회서 어른들을 제치고 받은 최우수상을 받았다. 변성기 때 목을 잃어 20년 가까이 좌절, 인분까지 먹어야 했던 그는 30세의 나이 득음을 통해 명창의 반열에 오른다. 1972년 판소리보존회 전국명창대회 1등, 1982년 제8회 전주대사습놀이 장원 국무총리상 수상, 1987년 남도예술제 특장부 장원 대통령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그가 기억에 남는 일중 하나로 판소리가 세계문화유산등재를 앞두고 전 세계에 판소리를 알리기 위해 1988년 유럽 7개국 11개 도시를 38일간 순회하며 완창한 춘향가는 세계적으로 무한한 감동을 주었던 때를 꼽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