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서울시와 각 자치구가 올해 에너지 사용량을 전년 대비 15% 수준으로 줄인다. 에어컨을 켠 채로 문을 열고 영업하는 업소에 최대 300만원의 벌금이 부과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여름철 에너지절약 종합대책'을 10일 발표하고 최악의 전력수급 비상상황에 적극 대비키로 했다.
이를 위해 암사정수센터(5000kW), 강서농수산물시장(1300kW) 등 공공시설과 민간부문의 태양광 발전시설 1만220kW를 조기 준공한다.
또 관심단계 발령부터 가동할 수 있는 열병합 발전시설 2500kW를 확보했다. 신청사 700kW, 민간에서 참여 의사를 밝힌 합정동 메세나폴리스아파트 200kW, 여의도 IFC 건물 1600kW 등이다.
청계천, 중랑천 등의 적정유량 확보 및 수질 개선 차원에서 중랑물재생센터가 강제로 내보내는 물의 양은 7~8월 피크시간대(오후 2~5시) 대폭 낮춰 3385kW 전력을 줄일 예정이다.
이 기간 지하철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러시아워 외 시간에 운행간격을 최대 1분 연장, 하루 평균 지하철 운행을 1050대에서 919대로 12.5% 감축시킨다.
서울시 본청은 전력 사용량을 지난해에 비해 최대 2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신청사 조명 2만3000개 중 7200개는 오후 2~5시 상시 소등하고, 에스컬레이터 10대 가운데 시민들이 이용하는 4대를 뺀 6대는 운행을 멈춘다.
실내 냉방온도(26℃) 제한을 안 지키거나, 냉방기를 켠 상태로 문을 열고 영업하는 등 민간의 냉방전력 과소비 행태에는 7월 이후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를 물린다. 앞서 6월 한 달간 계도기간을 거친다.
집중 관리상권은 명동, 신촌, 홍대입구역·영등포역·경복궁역 인근, 가로수길, 도산공원, 강남대로 등 8곳이다. 단속은 서울시와 자치구, 에너지설계사, 시민단체 등이 민관합동 점검반을 꾸려 벌인다.
임옥기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와 자치구 전 기관이 공공부문 에너지 절약에 나서는 한편 민간부문 냉방전력 과소비 근절에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며 시민들의 에너지 절약 동참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