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간담회는 광역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서비스산업 육성 전담부서(과)를 설치한 이후 현장전문가의 자문과 정책제언을 통해서 중점 추진과제를 발굴하는 한편, 중장기적 서비스산업 종합 육성추진을 위해 마련했다.
도는 기존 제조업 중심 육성에서 서비스산업 육성 전략을 병행 추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창조ㆍ융합형 서비스산업 육성 시책을 적극 발굴 사업화함으로써 양질의 일자리 및 성장동력을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도민(취약계층)의 금융애로사항 해소 및 피해예방 등 금융서비스의 안정성 제공와 금융소비자 권익보호 체계 강화도 추진한다.
이날 서비스산업총연합회 김현수 정책부회장은 “주요 정책방향으로 전통적인 서비스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국제경쟁력 확보해, 서비스산업콤플렉스플러스 구축과 서비스산업일자리창출지원센터 설립 창조형서비스산업인력양성 등을 제시했다.
이어 경기개발연구원 이상훈 연구위원은 “경기도 서비스산업 입지방향으로 고양 판교 광교 송산 등을 축으로 하는 서비스비즈니스벨트 조성을 제안한다” 며 "경기도만의 특화된 서비스산업 육성 모델의 정립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황성태 도 경제투자실장은 “제도적 기반구축과 함께 전문가와 현장기업 의견수렴을 통해, 고부가 유망 서비스산업을 집중 발굴해 지속가능한 일자리와 성장동력을 적극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