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날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북한에 회담을 공식 제안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당면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남북간 노력이 시급하다는 인식하에 개성공단 현지에 보관 중인 원·부자재와 완제품 반출 등 입주기업의 고통해소를 위한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 개최를 북측에 제의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우리 측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 등을 포함한 3명의 회담대표가 나갈 것"이라며 "북측도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장 등의 회담대표가 나올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회담 장소로는 판문점 우리 측 지역인 '평화의 집'을 제안했다.
김 대변인은 회담 일정과 관련해서는 "조속한 시일 내에 북측이 편리한 방법으로 우리 측에 답변해 주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제안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무회의 지시에 따라 이뤄진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완제품이나 원·부자재를 반출하기 위한 회담을 북한 측에 제의하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가 바라는 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이고 남북한 주민의 번영과 행복한 통일"이라며 "개성공단도 단순한 정상화가 아니라 국제화를 위한 혁신적 변화가 필요하고 그러려면 북한이 국제사회와 한 약속과 개혁에 대한 안전장치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우리 기업들이 개성공단에 두고 온 완제품이나 원·부자재들을 하루빨리 반출해 기업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통일부는 북한 측에 이와 관련된 회담을 제의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는 회담 제안과 관련해 "북한과 사전협의는 없었다"며 "공개적 입장 표명인 만큼 북측이 편리한 방식으로 우리 측에 입장을 전달해 주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우리 정부가 북한에 대화를 제안한 것은 이번이 3번째로 북한은 그동안 대화를 거부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