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가진 퇴임 기자간담회에서 “당이 정권출범 초기에 너무 무력하게 대처했다는 의견도 있지만 정권 초기에 정부가 제대로 조직화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될 수 있으면 대통령 당선인의 뜻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노력해주는 것이 필요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정·청은 같은 정치적 운명체로 삼위일체가 돼야 한다”면서 “일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의견차가 생기는 것은 사실인데 그런 것은 사전에 예방하고 또 집행과정에서 수시로 평가·조율하는 긴밀한 협력체계가 만들어져야 국민도 정권 담당자에 대한 믿음을 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에 대해 “자칫 국제적 문제로 확산될 수 있다”면서 “빨리 진상 규명이 되고 거기에 걸맞은 처리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경제민주화 관련법에 대해선 “아무거나 경제민주화 법에 넣어놓고 통과시키자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경제민주화의 최종 목표는 경제적 약자가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게 그분들의 경쟁능력을 키워 주는 게 중요하다. 불공정거래, 불공정경쟁 요소를 없애는 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난 1년을 회고하면 개원협상, 대선, 새 정부 구성 등의 과정에서 정말로 다양한 일이 벌어져 그 과정에서 많은 노력을 했고 비판도 많이 받았다”면서 “취임 때 일하는 국회, 상생국회, 준법국회를 내걸었는데 일정기간이 지나면 무조건 개원하는 장치를 마련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원내대표를 그만두더라도 평의원으로서 당의 발전과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