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들은 서로 상대방 후보가 불법선거운동을 하고, 허위사실 유포를 통해 음해를 가하고 있다며 물러섬 없는 공방을 벌였다.
불법선거운동 논란은 이용섭 후보측이 전날 김한길 후보측을 겨냥,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불법선거운동을 했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당 선관위는 당초 ‘문자메시지 발송 금지’에 대한 공문을 내린 것은 실무진의 착오였다는 입장을 밝히고 해당 실무진을 당 윤리위에 회부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논란은 더욱 확산되는 분위기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자청, “선관위도 ‘문자메시지 발송 금지’ 내용은 논의되지 않았음을 공식 확인했는데, 이 후보측이 터무니없이 이를 계속 문제삼고 있다”며 “이 후보측은 근거없는 음해를 중단하라”고 역공했다.
김 후보는 나아가 범주류 단일화를 ‘계파주의 부활, 편가르기’로 규정하며 “계파정치 행태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고 친노를 정조준했다.
이 후보측도 ‘맞불 기자회견’을 열어 반격에 나섰다. 이 후보측은 김 후보측 상담원의 전화홍보 녹취록을 공개했다. “이해찬 전 대표가 이 후보를 돕고 있어 이 후보가 당 대표가 되면 이 전 대표가 뒤에서 조종할 것”이라는 통화내용이었다.
이 후보측은 “조직적 음해의 결정적 증거이자 흑색선전”이라며 김 후보의 사과와 선관위의 엄중한 제재조치를 촉구했다. 이 후보측은 전날 실시된 당투표 무효화 및 재투표 실시 주장도 거두지 않았다.
친노(친노무현) 진영도 김 후보 공격에 가세했다.
전화홍보물에 거론된 이 전 대표측은 의원실 명의의 자료에서 “전대를 분열과 갈등으로 몰아넣는 해당행위이자 불법행위”라면서 허위사실 유포 중단 및 김 후보의 사과 등을 요구하며 법적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측은 주승용 선대본부장 명의로 “캠프의 한 자원봉사자가 특정 정치인의 실명을 거명하며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주장한 것에 대해 진위를 확인 중”이라며 “이유를 불문하고 해당 의원들에게 정중하게 사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후보측이 당원들에게 보냈다는 문자메시지를 공개하며 “국민과 당원들이 어찌 볼지 걱정”이라며 이 후보에 대한 공격은 멈추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