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는 부산지역의 풍부한 조선해양플랜트 기업과 출연연구소, 대학을 한데 묶는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기술사업화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미래부는 조선해양플랜트기자재, 그린해양기계 관련 기업의 성장과 창업에 필요한 투입요소를 쉽고 빠르게 조달할 수 있도록 부산연구개발특구를 지정 고시했다.
부산특구는 정보교환, 공동연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14 제곱킬로미터에 이르는 강서구, 금정구 등 일원을 연구개발(R&D)융합지구, 생산거점지구, 사업화촉진지구, 첨단복합지구 등의 권역으로 집적화했다.
부산연구개발특구는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서비스, 조선해양플랜트기자재, 그린해양기계가 특화분야로 부산대 등 6개 대학, 생샌기술연구원 등 3개 출연연구소 및 800개 기업이 포함됐다.
미래부는 지난달 9일 2013년 특구육성사업 시행계획을 고시했다.
부산특구에는 올해 연구성과사업화를 위한 기술탐색이전공급사업, 특구기술사업화사업, 벤처생태계조성을 위한 기술경영애로해결, 특구커뮤니티 및 글로벌 교류 사업 등 2개 분야 4개 사업에 70억원을 투입한다.
부산연구개발특구는 특구육성사업 뿐만 아니라 연구소기업·첨단기술기업을 지정하고 지정된 기업에 대해 세금감면, 규제완화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 중소기업육성 및 벤처창업 활성화, 고용창출을 위해 다양한 정책자금 및 지원을 특구입주기업에 제공할 예정이다.
소득세 및 법인세는 3년간 면제하고 2년간은 50% 감면, 취·등록세는 면제하고 사업시행자가 신고의무, 지정승인 받아야 하는 법률상 인허가 30개 사무는 일괄 처리해 사업추진 절차를 간소화한다.
이날 행사에는 이상목 미래부 차관, 허남식 부산광역시장, 김세연 국회의원 등 250명이 참석했다.
이 차관은 기념사에서 “부산연구개발특구는 산·학·연·지역간 연계로 창조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창업을 활성화하고 산업간 융합을 촉진해 새로운 시장과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대한민국 창조경제의 산실이 될 것”이라며 “부산연구개발특구 발전을 위해 대학은 창의적 지식과 인재 공급에 최선을 다하고 연구기관은 시장이 필요로 하는 신기술 개발에 R&D 역량을 집중하며 기업은 시장성이 있는 기술의 사업화에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