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호 코트라 사장 "무역 2조불 위해 반드시 중동 잡아야"

2013-03-31 17:42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중동은 세계 최대의 프로젝트 시장이며 성장잠재력이 가장 큰 지역으로 한국의 무역 2조달러 달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개척해야 하는 시장이다."

코트라 오영호 사장은 지난 30일 요르단 암만에서 중동지역 15개 무역관장이 참가하는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말했다.

오영호 사장은 "중동은 현재 석유고갈시대를 대비해 탈석유·산업화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므로 국내 중소·중견 기업들이 이 기회를 잘 활용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면서 "UAE 원전 수주 이후 한국 기업의 기술력은 중동에서 최고로 인정받고 있으며 기술력을 갖춘 국내 중소·중견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는 포스트 오일시대를 대비해 중동 각 국의 산업다각화 전략을 점검하고 국내 중소·중견 기업이 중동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아랍의 봄 사태 이후 중동 각 국이 고유가로 축적된 오일달러를 활용해 자국의 일자리 창출과 탈 석유화를 위한 제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중동지역 무역관장들은 한국의 중소·중견 기업들이 이런 상황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코트라에 따르면 중동의 부국 카타르는 'Qatar National Vision 2030'을 통해서 인적자원, 사회, 경제, 환경의 4개 분야에서 국가차원 프로젝트를 수립했고, UAE아부다비는 'Plan Abu Dhabi 2030' 계획 아래 오일·가스, 관광, 의료 등 부문별 투자계획을 발표하는 등 각 국의 경제개발이 본격화 되면서 시장도 활성화 되고 있다.

또한 중동은 산업다각화 정책을 통해 오일·가스 일변도의 현재 산업구조를 기술집약 산업과 금융·관광 허브 등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현지의 산업화를 이끌어 줄 경제협력 파트너가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측면에서 단기간에 고속 성장을 이룩한 한국은 현지에 좋은 본보기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간 한국이 현지 프로젝트의 참여를 통해 쌓아온 기술 강국의 이미지는 중동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중동 프로젝트 시장은 과거 유럽과 미국이 석권을 했으나, 최근에는 한국·일본·중국·인도 등 아시아권 국가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고, 한국 기업을 우선 협상 대상으로 지정하는 경우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일부 국가에선 전자정부 및 공항 관리 시스템 등 한국이 강점을 갖는 분야에서 정부 차원의 협력을 요청하는 사례도 있다.

위와 같은 시장의 변화를 감안, 코트라는 중소형 프로젝트 및 기자재, 산업다각화, 의료·IT·교육·신재생에너지의 신사업 분야, 재건복구, 해외취업 등 중동 6대 중점추진 전략을 제시했다.

중소형 프로젝트 및 기자재의 경우 현지의 주요 발주처 및 EPC 업체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수요 발굴이 가능한 영역으로, 기술력을 갖춘 중소·중견 기업이 눈여겨 볼만한 시장이다.

또한 각 국의 산업다각화 정책을 활용해서 현지에 기계설비, 부품 및 원부자재를 수출하거나 현지 회사와 조인트 벤처를 설립해서 현지 내수 및 프로젝트 시장에 진출하는 방법도 좋은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코트라는 조언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