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한국의 창조경제역량지수 개발과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창조경제역량지수는 10점 만점에 6.2로 OECD 31개 회원국 중 20위에 불과했다. 주요 7개국(G7·6.6)은 물론이고 OECD 전체 평균(6.3)보다도 낮은 수치다.
OECD 회원국 중 1위는 스위스로 7.5였다. 스웨덴은 7.2로 2위를 차지했으며 노르웨이(7.1)가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6.9)은 7위, 일본(6.5)은 15위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ICT 자본의 투입·활용도·영향 등을 나타내는 ‘ICT 자본’은 8.6으로 OECD 1위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ICT 투자, 거주자 1000명 당 고속통신망 가입자, 전체 수출에서 ICT 비중 등이 선전한 덕이다.
기술혁신을 위한 투입·산출을 반영하는 ‘혁신자본’도 5.4로 OECD 11위였다. 노동의 질적 향상 노력을 평가한 ‘인적자본’은 22위, 사회 전반의 구조·제도적 기반을 뜻하는 ‘사회적 자본’은 21위로 중위권이었다.
반면 문화 육성을 위한 투입비용, 사회 전반의 문화 참여도를 나타내는 ‘문화자본’은 OECD 31개국 중 29위로 최하위권이었다.
연구원은 “가계지출 중 오락·문화 비중, 정부예산 중 여행·관광지출 비중, 세계 자연문화 유산 수, 관광산업 발전 지속성, 외국인 관광객 수, 관광수지 등의 세부지표가 모두 OECD 평균에 못 미쳐 중하위권으로 평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창조경제역량지수 개발과 평가’보고서란 현대경제연구원이 한 국가가 창조경제를 얼마나 잘 구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를 자체 개발해 OECD 회원국들을 평가한 것이다.
연구원은 창조경제역량의 구성요소를 인적자본, 혁신자본, 정보통신기술(ICT)자본, 문화자본,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했다. 그리고 각각 항목에서의 경쟁력을 종합해 ‘창조경제 역량지수’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