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농림수산식품부 업무보고에서 “우리가 고도 산업화 길을 걸으면서 이 산업이 첨단과는 거리가 멀지 않나 하는 인식이 있었는데 이런 인식부터 고쳐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농수산축산식품 산업은 국민의 소중한 먹을거리를 책임지는 생명산업이면서 국가안전의 토대가 되는 안보산업”이라며 “새 정부 국정운영의 모토인 국민행복을 이루는 데 있어 농축산식품 산업발전이 필수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농축산업이) 미래산업으로 발전하려면 우리나라에 맞는 미래산업의 육성과 세계 속에서도 뒤지지 않는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며 새 정부 농정의 3대 핵심축으로 농축산인 소득 증대, 농촌 복지 확대, 농축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소득을 높이려면 농축산업을 가공ㆍ유통ㆍ관광을 아우르는 종합산업으로 변화시키고 육성해야 한다”며 “이미 몇몇 지자체에서 지역 특산물 수출에 성공한 사례가 있어 정부 차원에서 사업모델을 잘 연구해 수출이 활성화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보육과 교육여건이 좋지 않고 문화생활은 더욱 어려운게 우리 농촌의 현실”이라며 “농촌의 실상에 맞는 보육과 교육환경 개선, 의료ㆍ문화 환경 개선에 힘을 쏟아 농촌에 사는 것이 힘들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만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농축산업은 뜻하지 않는 재해나 재난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다”며 “재해보험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고, 재해보험의 실용성을 높이는 방안과 더불어 대상과 지역 등 보상 범위의 확대도 세심하게 챙겨달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네덜란드 농업이 ‘95%의 과학기술과 5%의 노동력’이라는 말을 들은 경험을 언급, “농축산업에 첨단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날씨ㆍ시장ㆍ생산량 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복잡한 유통구조 개선 등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종자산업과 관련, “세계적인 블루오션인데도 투자가 많이 부족하다”며 “지혜를 모아 새로운 종자산업의 출구를 찾고, 연구개발 투자도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