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에 '뿔'난 民과 '답답'한 公기관

2013-03-19 15:1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최근 밀양 송전탑을 둘러싸고 한국전력공사와 지역주민과의 갈등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특히 송전선로 변경계획을 두고 양측은 ‘양보할 수 없다’는 팽팽한 대립각을 세우며 오는 26일 제 3파전을 치룰 예정이다.

한전은 선로완공 지연에 따른 비용부담 및 송전계획 변경 등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다는 입장이다.

한전 관계자는 “공사 기간이 당초 계획보다 2년 이상 길어져 비용이 불어나고 있는데다 선로 완공 지연으로 송전 계획까지 사실상 변경됐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한전은 애당초 북경남·신고리 구간(고리·기장·양산·밀양)에 765kV 송전선로를 완공해 신고리 3호기를 송전에 활용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기간이 지연되면서 불가피하게 송전 계획을 변경하게 됐다는 것.

이 관계자는 “송전계획 변경으로 용량이 절반 수준인 구형 345㎸ 선로로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송전선 과부하 위험이 걱정”이라며 “당장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올 여름 과부하로 인해 자칫 블랙아웃(대정전) 사태로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 못한다”고 우려했다.

용량이 작은 선로에 대량의 전력을 실어 보낼시 과부하나 고장이 잦아진다는 설명이다. 특히 전력계통이 하나의 망으로 연결된 우리나라의 경우, 선로에 문제가 생기면 전력계통이 발전설비 전체로 영향을 미쳐 대정전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

하지만 지역주민들은 송전선로 변경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밀양 송전탑 반대주민 대책위원회는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계획의 8년간 파행의 원죄는 한전에 있다”며 “장거리 대두간 수송에 쓰이는 765kv 대신 소구간 전력 수송에 쓰이는 345kV 선로로 하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이어 “345kV 선로로 신고리 3호기 전력을 송전했을 때 과부하나 고장이 발생한다는 한전의 주장은 과장됐다”며 “밀양구간 지중화와 대안노선과의 병행건설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공개하고 전문가 협의체 건설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경남변전소에서 345kV 1분기 공사가 완공되더라도 송전할 수 있는 전기는 신고리·북경남송전선로로 송전된 전기의 3분의1에 불과하다는 것이 대책위의 주장이다. 게다가 현재 한전은 북경남·고령 2분기, 나머지 3~4분기 등의 공사는 시작조차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한전 밀양대책본부 관계자는 “밀양 송전탑은 정부가 세운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것”이라며 “정부는 발전을 많이 하는 곳으로 대단위 송전을 할 때는 765kv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전과 밀양 지역주민들과의 불신의 골은 지난해 1월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70대 노인이 분신자살 하면서 더욱 깊어져만 갔다. 한전은 이를 해결하고자 긴급히 밀양 특별대책팀을 구성하는 등 지역주민들을 달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지만 역부족이라는 반응이다.

또한 한전과 시공사는 공사에 반발한 주민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 소송, 가처분 신청, 고소 등도 우선 취하·취소했다. 지난 12일에는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조경태 의원의 주선으로 송전탑 반대대책위 주민대표와 만나면서 소통의 결실을 기대하기도 했다.

한전과 대책위 양 측은 조 의원의 중재로 오는 26일 3차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지만 첨예한 공방이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