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장관 윤상직)는 15일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이같은 정책의 일환으로 융합형 디자인대학 협의회를 발족했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대·홍익대·제주대 등 14개 대학의 사업단장이 모인 가운데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지경부는 최근 감성과 기술의 융합이 국가간 기술수렴에 따라 향후 산업계 전반의 키워드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국내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을 미술의 한 분야로 인식해 스타일링 위주의 실습으로 운영되고 있어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지경부는 지난 2010년도부터 디자인과 공학간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융합형 디자인대학 육성사업을 실시했다. 특히 올해는 36억원을 지원, 3개 대학을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며 공학부분과의 융합을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협의회도 향후 융합형 디자인대학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성과 확산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대학 특성화 및 교육과정간 실질적 융합성과 창출을 분기별로 논의하는 등 △지역특화산업 △대학내 주력학과와의 연계 △대학내 전공·학과간 이해관계 조정 등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김학도 지경부 신산업정책관은 이날 협의회 출범식에서 “창조산업의 핵심인 디자인 발전은 우수한 인력에 달려있다”며 "이번 협의회를 통해 감성과 기술이 융합, 우리경제를 고도화시키는 계기가 되도록 노력 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