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미 양국이 서로 해킹 등 사이버 스파이 활동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코카콜라가 불법토지정보를 수집했다는 혐의로 조사를 받게되자 국내외 이목이 더욱 집중됐다.
중국 윈난성 정부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윈난측량지리정보국에 따르면 코카콜라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를 이용해 기밀정보를 불법수집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21건의 불법측량 관련 수사에 착수한 상태로 코카콜라도 그 중 하나라고 설명하고 구체적인 결과는 조사가 끝난 후에 밝혀질 것이라며 확답을 피했다고 FT는 전했다.
이에 코카콜라 측은 "코카콜라의 토지정보 수집은 중국에서 영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자지도를 확보하고 위치기반 고객서비스 제공을 위한 작업의 일환일 뿐"이라며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해명하고 나섰다.
FT는 앞서 뉴욕타임스가 중국발 해킹을 당했다는 소식과 함께 코카콜라도 중국 해커의 목표 중 하나라고 언급한 바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지난 11일 미국 백악관은 중국에게 미국 기업 및 주요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을 중단할 것을 공개적으로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중국은 "중국이야말로 해킹의 피해국이라며 지난달 국방부 사이트 2곳이 월평균 14만4000차례나 해킹을 당했고 그 중 60% 이상이 미국발이였다"고 역공격에 나섰다.
중국 외교부 양제츠(杨洁篪) 부장도 미국 측의 주장을 부인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날조·유포하는 것은 자신의 얼굴에 먹하는 일"이라며 강력히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