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시대 中, 자국 중심 지역경제 통합 강화

2013-03-12 11:00
  • 글자크기 설정

무협 "韓·中 FTA 개방 수준 높이고 보호장벽 허물 묘책 필요"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시진핑시대에 중국은 개방 확대 보다는 자국 중심의 지역경제질서 구축에 중점을 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통상정책의 목표로 수출 고도화, 외국인직접투자(FDI)를 통한 내수시장 육성을 통한 중국 중심의 지역경제 통합 강화를 내세운 까닭이다.

12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이 발표한 ‘시진핑시대 중국의 통상정책과 한·중 통상관계’보고서를 보면, 중국의 새로운 통상정책에 대비해 한·중 FTA의 수준을 높이고 보호주의 장벽을 허물 묘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정부는 무역과 투자 부문에서 자국산업 육성과 보호주의 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대외무역과 외국인직접투자(FDI) 허용을 자국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공무역의 전환 및 업그레이드, 수출 고도화 정책이 더욱 강력히 추진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지 이미 11년을 넘긴 시점에서 중국만 일방적으로 개방을 확대할 수는 없다는 의사도 표출되기 시작하고 있다. 중국의 이런 기류는 지난 8일 열린 전인대 기자회견에서 첸더밍 상무부장(장관)이 밝힌 "개방과 개방을 맞바꾼다"는 말로 요약된다.

FTA를 비롯한 지역협력정책에서는 중국을 중심에 둔 동아시아 지역질서 수립이 더욱 본격화, 체계화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미 발효된 FTA를 기반으로 아세안과의 실질협력을 강화하고, 높은 수준의 중·대만 ECFA를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 매듭지진다는 얘기다. 여기에 한·중 FTA를 필두로 한·중·일 FTA와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CEP)’ 협상도 우선 추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의 새로운 통상정책은 한국으로서는 한·중 FTA에 좀 더 진전된 내용을 담을 수 있어 좋은 기회이자 도전일 것으로 진단했다. 중국이 지역중심국가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중국을 배제한 채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이 추진하는 수출 고도화, 가공무역 전환·업그레이드 및 중서부지역 이전 정책 등은 우리 기업이 중국 활용 전략에 요긴하게 쓰일 전망이다.

정환우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진핑시대의 통상정책 변화에 대응해 한·중 FTA의 개방 수준과 폭을 넓혀야 한다"며 "동시에 보호주의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중 진출전략을 새로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