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일본 부흥청에 따르면 지난달 7일 기준으로 일본 전국에 피난 중인 사람은 31만5196명으로 1년 전의 34만4290명보다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렇게 동일본 대지진 피난민이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은 토지 소유주와의 협상 지지부진으로 부흥주택 건설이 지연되고 있고 원전 사고로 후쿠시마현 주민들이 집으로 돌아기지 못한 것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사망자 신원 확인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8일까지 신원을 확인한 대지진 사망자는 1만5881명으로 지난해 3월 10일까지 신원이 확인됐던 1만5854명에서 겨우 27명 늘었다.
실종자는 지난해 3월 3155명에서 2668명으로 487명 감소했다. 추가로 신원이 확인된 사망자 27명을 빼면 460명의 생존이 확인된 것이다.
사망자 신원 확인은 이렇게 늦어지고 있지만 대지진 관련 사망자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대지진 발생 후 피난 도중에 사망한 ‘재해 관련 사망자’는 2303명이다. 이에 따라 대지진 관련 사망ㆍ실종자는 2만852명으로 집계됐다.
요미우리신문은 자체적으로 취재한 결과 재해 관련 사망자가 2601명이라고 전하고 있다.
대지진으로 발생한 건물 쓰레기는 1628만t인데 올 1월말까지 처리된 쓰레기는 754만t 정도로 추정된다.
일본 정부는 오는 2014년 3월 말까지는 쓰레기 처리를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날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의 총리 관저 채널을 통해 공개한 영상 메시지에서 “(피해지역인) 도호쿠에서 싹트고 있는 일본 미래 개척의 새 가능성을 모두 키워 나가자”며 “도호쿠에 봄이 오지 않으면 일본의 봄은 오지 않는다. 하루 하루의 무게를 잊지 않고 반드시 부흥을 가속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일본 자위대가 동일본 대지진 당시 통신이 잘 되지 않았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 ‘스마트폰형 통신체계’를 도입키로 했다 전했다.
방위성은 2014 회계연도(2014년 4월 1일∼2015년 3월 31일)부터 800억엔을 들여 육상자위대가 쓸 새로운 야외 통신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 야외 통신 시스템은 병사들이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형 휴대단말 장치와 대형 안테나를 갖춘 이동식 기지국을 연결해 음성과 동영상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전국 지자체 200곳 이상이 운용하고 있는 방재 무선과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