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의뢰받은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국내 시장의 87%를 점유하고 있는 존슨앤드존슨·시바비젼·쿠퍼비젼·바슈롬 등 주요 브랜드의 콘택트렌즈 가격은 해외보다 비싸다.
한국소비자연맹이 국내 안경점 157곳과 미국·일본·중국·대만·호주·홍콩·영국 등 7개 국가의 콘택트렌즈 판매가를 조사한 결과, 콘택트렌즈 판매가격은 해외보다 최소 2%에서 최대 64% 비쌌다.
가격차가 가장 큰 제품은 에어 옵틱스 아쿠아(시바비젼) 렌즈다. 국내 평균 가격은 5만8214원으로 해외 안경점 평균 가격 보다 1.64배(3만5402원) 차이를 보였다.
또 아큐브 모이스트(존슨앤드존슨), 포커스 데일리즈(시바비젼), 아큐브 트루아이(존슨앤드존슨), 소프렌즈 데일리(바슈롬)도 국내 가격이 해외보다 약 11~34% 높았다.
아울러 대부분의 안경점 내 콘택트렌즈는 동일한 가격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점유율이 높은 제조회사의 제품일수록 판매가격의 동일성 정도가 높다는 것이다.
존슨앤드존슨의 아큐브 트루아이 제품은 전체 132개 안경점 중 97.7%인 129곳의 판매가격이 45000원으로 동일했다.
아큐브 모이스트, 아큐브 어드밴스, 아큐브2 인핸서즈 등의 제품 또한 90% 이상의 안경점에서 똑같은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다. 바슈롬코리아의 소프렌즈 데일리의 경우는 전체 100개 안경점 중 83.0%인 83곳이 동일했다.
특히 FTA에 따른 관세 인하 효과도 없었다. 오히려 더 비싸졌다. 지난 2011·2012년 소프렌즈 데일리의 개당 가격은 996원이었지만 1192원으로 약 19.7% 상승했고 아큐브 트루아이의 개당 가격은 1490원에서 1496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이는 관세인하로 인한 혜택이 우리나라 소비자가 아닌 외국 제조업체로 귀속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게 한국소비자연맹 측의 판단이다.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회장은 “지난 2011년 5월 존슨앤드존슨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언론 인터뷰에서 FTA로 인한 수입관세 면세 혜택이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지만 실제로는 소비자가격의 변화가 없어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지 않았다”며 “해외와 달리 국내 가격이 비싼 요인은 독과점적인 유통구조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