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4월부터 인상된다…생보 5~10%, 손보 1~2%

2013-03-04 18:35
  • 글자크기 설정

4월부터 생보 5~10% 손보 1~2% 올려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빠르면 다음달부터 장기보험 신규 가입자의 보험료가 최대 10% 인상될 전망이다.

치솟는 손해율에도 불구하고 새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자동차보험료를 인상하지 못했던 손해보험사들도 보험료 인상에 동참한다.

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새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4월부터 표준이율이 0.25%포인트 줄어든 3.50%로 하향 조정될 예정이다.

표준이율은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하기 위해 확보한 책임준비금에 붙는 이율로, 보험사가 책임준비금을 운용해 얻을 것으로 예상하는 수익률의 기준이다.

종신보험과 질병보험 등 장기보험을 주로 판매하는 생명보험사들은 보험료를 5~10% 인상한다.

자동차보험과 일반보험을 취급하는 손보사들은 장기상품 비중이 작은 만큼 보험료를 2%가량 올린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손보사는 생보사에 비해 장기상품 판매 비중이 작아 보험료 인상폭이 작다”며 “생보사는 약 7%, 손보사는 약 1~2% 보험료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험사들이 이 같이 보험료를 인상하게 된 데에는 사상 유례가 없는 저금리 기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표준이율 계산식에 사용되는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008년 5.57%에서 지난해 3.45%로 낮아진데 이어 올 1월 3.05%까지 떨어졌다.

보험사들은 앞선 2005년 4.25%에서 이듬해 4.00%로 내려간 뒤 5년간 유지됐던 표준이율이 2년째 하락하자 보험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부담을 느꼈던 손보사들은 장기보험 보험료 인상에는 관대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손보업계 1위사인 삼성화재의 경우 지난해 12월 한국 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107%에 달했다.

줄곧 손해율과 보험료 비례 공식을 내세우던 손보사들은 보험료를 올리는 대신 자체 특별대책반을 운영 중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준조세 개념의 자동차보험료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되지만, 소비자들이 선택 가입하는 장기보험료는 반영되지 않아 인상 부담이 덜하다”며 “보험사들이 보험료를 올릴 경우 서민경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