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가격 인상 엄중 처단 발표 “불만 고조”

2013-03-03 19:0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전운 기자= 새 정부 출범 전후로 집중된 주요 생필품 가격인상 러시에 정부가 엄중 처단 발표하자 식품업계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업계는 지난 정부에서 강력한 물가인상 억제 정책을 펼쳐 불가피하게 인상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직권조사 등 너무 가혹한 제재조치를 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3일 식품업계 및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부터 올해 1월까지 음료는 평균 2.96%, 식료품도 2.12% 상승했다.

가공식품의 경우 두부와 콩나물, 고추장 등 장류, 밀가루 등이 7~10% 가량 올랐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첫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물가안정을 화두로 던졌고, 다음날 정부는 긴급 차관급 물가회의를 열어 식품가공품 등에 대한 물가 안정방안을 논의했다.

이같은 정부의 움직임은 지난달 21일 식품업체들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규모 직권조사가 이뤄진 직후여서 정부의 가격인상 억제 정책이 더욱 강력해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식품업계는 국제 곡물가 등 지난해 계속돼 온 원자재가 상승 등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조치로 정부의 제재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정부의 강력한 물가 인상 옥죄기로 곪아 있던 기업들의 가격인상 욕구가 결국 터질 수 밖에 없었다는 게 식품업계의 주장이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6월 이후 국제 곡물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 국내 식품업체들의 인상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며 “이에 밀가루업체들의 가격인상이 새해를 전후해 오를 수 밖에 없었고 밀가루와 옥수수 등을 원료로 하는 대부분의 가공식품도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올해 들어 세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원자재 가격이 일제히 오르며 원가재가 상승이 계속 상승 곡선을 보이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등이 집계한 자료에 의하면 1월말 기준 국제원자재가격(CRB)지수가 303.99포인트로 지난해 말 이후 한 달 새 2.9% 상승했다.

원자재 가운데 원유와 니켈, 옥수수 등은 6% 이상 급등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식품업계에서는 지난 정부 출범 이후 가격인상이 쉽지 않아 사실상 2~5년 만에 이뤄진 인상을 놓고 정부가 직권조사까지 펼치는 것은 과한 처사라는 지적이다.

오히려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아직도 인상하지 못한 품목이 많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새정부가 출범 초기에 서민물가를 잡기 위해 노력을 하는 것은 좋지만 기업들의 고충은 고려하지 않은 채 무조건 밀어붙이기식으로 기업을 옥죄는 것은 고려할 문제”라며 “기업의 성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경제 민주화를 내건 새정부의 계획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