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부 이규하 기자> |
김 위원장은 25일 이임식를 통해 무엇과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는 말로 따뜻한 눈빛을 보였다.
다른 부처와는 다르게 검찰·법원의 기능 및 정책을 수립하는 특수 조직인 만큼 공정위가 갖고 있는 능력을 제대로 발현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회상한 김 위원장은 2년여간을 영광스러운 시간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취임 초기 대·중소기업간 그리고 생산자·소비자간 ‘따뜻한 균형추’를 기조로 서민물가 안정화에 이바지 하는 인물로 자처하며 다양한 공정정책을 펼치는 등 경제민주화의 초석을 다지기도 했다.
하지만 공정위가 갖고 있는 능력을 발현하면 할수록 재계의 원성은 커져만 갔다. 기업 성장을 우선 시하는 다른 부처의 눈총도 공정위의 위상이 달갑지만은 않았다.
그럴 때일수록 과거 학계 출신의 수장들과 달리 내부 갈등을 조화롭게 묶어낸 그의 리더십은 달랐다는 게 공정위 내부 직원들의 평가다.
김 위원장의 이같은 노력에 공정거래 질서확립을 위한 ‘따뜻한 균형추’의 밑그림은 어느 정도 그려졌다. 박근혜식 경제민주화 추진 과제인 ‘원칙이 바로선 시장경제 질서확립’은 김동수의 밑그림에 새를 그리고 나무를 그려 완성하면 된다.
새 정부의 국정목표는 창조경제다. 새 정부 출범과 궤를 함께할 내정자가 공정위에 인선될 확률이 높다. 하지만 창조경제라는 울타리속에 경제민주화의 원칙이 퇴색되면 안된다.
때문에 시장경제 질서확립을 책임질 차기 위원장석은 더욱 신중하고 심도 있는 검증이 요구된다. 사회 여론들의 비판에 몸살은 겪는 건 내정자 뿐만 아닌 공정위 위상까지 흔들릴 수 있는 문제다. 사회 약자들의 관정(官呈)은 늘 공정위에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