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입 냄새, 숨은 주범은 수면장애? - 한진규 서울수면센터 원장

2013-02-19 17:03
  • 글자크기 설정
한진규 서울수면센터 원장
입 냄새는 코 질환에 따른 구강호흡, 구강 구조에 따른 구강호흡, 수면 무호흡, 코골이에 따른 역류가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입을 벌리고 자면 배에 가스가 차서 위식도 역류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성인 중 50%가 입 냄새로 고민해본 적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을 정도로 입 냄새는 흔한 증상이다.

침 분비량이 적은 수면 후나, 공복 시에 나는 구취는 대부분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입 냄새가 평소에도 계속된다면 특정 질환의 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원인을 알아봐야 한다.

입 냄새는 입 안의 박테리아가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휘발성 황화합물로 인해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증상이다.

혀의 안쪽에 서식하는 많은 양의 박테리아가 입 안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죽은 세포, 콧물 등을 부패시키는 과정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이다.

입 냄새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주로 입 안이 청결하지 못한 경우, 소화기관이 좋지 않기 때문인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원인 이외에도 수면장애로 인한 구취가 발생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또 구강호흡은 역류성식도염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한 논문에 의하면 역류성식도염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치료와 양압호흡치료(CPAP)를 시행했을 때 두 가지 종류의 치료효과가 유사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코골이는 수면 중 숨을 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부위들이 좁아져서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증상으로 코로 숨을 쉬지 않고 입으로 숨을 쉬게 된다.

또한 코골이는 자는 중에 숨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해야 할 질병이다.

코를 고는 상태가 지속되면 폐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고 이를 감지한 뇌가 반응해 인체를 긴장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보이는 증상이 바로 자는 도중 숨을 크게 몰아 쉰 다음 다시 호흡을 시작하는 것이다.

코골이는 부위별로 수술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 기도를 막고 있는 구조물의 절제 수술을 통해 막힌 기도를 넓혀주면 단순한 코골이는 대부분 해결된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수술이 어려운 환자는 양압호흡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