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층간소음’ 해법 제시한다

2013-02-14 15:14
  • 글자크기 설정

기술 가이드라인·마을공동체 통한 해법 등 ‘투트랙’ 전략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서울시가 최근 ‘층간소음’ 문제로 살인·방화 사건이 잇따르자 가이드라인 제정 등 대책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4일 시에 따르면 층간소음 해결을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종합대책을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TF에 한국소음진동공학회와 대학 연구진 등 기술전문가를 포함해 기술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다.

문승국 시 행정2부시장은 “주택을 공급만 해주면 가리지 않고 살던 때는 지났고 층간소음은 이제 개발 만능시대의 산물이 됐다”며 “서로 조심하고 인내하는 캠페인도 좋지만 방음 소재 개발이라는 공학적 관점이 더 중요한 때”라고 말했다.

시는 지역과 건물구조마다 다른 체감소음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할 기술개발 지원과 가이드라인 등 규제책을 마련한다.

문 부시장은 “신규주택은 새 규정에 따르면 되지만 문제는 기존 주택”이라며 “층간 소재가 스펀지, 용수철, 우레탄 등 다양한 물질로 제작되는 만큼 주택마다 적합한 보완재를 개발하고 적용할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연구진과 기술업체 등의 의견을 종합해 부실 기술과 제품을 규제하는 조례나 지침도 마련할 예정이다.

허갑식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사무국장은 “꼭 리모델링을 하지 않더라도 0.5∼1㎝ 두께의 카펫 같은 재질을 바닥에 깔아 소음을 차단하는 등의 제품들이 상용화돼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방음 소재가 아무리 개발돼도 인식과 이웃 관계의 변화 없이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을 제기한다.

이에 따라 시는 박원순 시장의 주력 사업인 ‘마을공동체’를 주요 해법으로 제시하며 마을 관계망 확대와 자율 조정 메커니즘 조성을 통해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유창복 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장은 “층간소음은 ‘관계’의 문제”라며 “윗집 아랫집이 평소 알고 지냈으면 같은 소리라도 더 이해가 되고 갈등 해결도 극단적인 방식으로까지 가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을공동체가 층간소음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관리 매뉴얼을 마련하면 시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 등이 현재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