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갤러리, '梅花~'전.. '양교영매첩'등 90여점 전시

2013-02-04 17:25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연안이씨 집안에는 월사 이정귀(1564~1635)가 명나라 말에 중국으로 사신 갔을 때 가지고 온 단엽 홍매가 전해져 오고 있었다.

어느 날 춘소 이연익(~1891)이 집안 형님인 화가이자 학자인 송석 이교익(1807-?)이 살던 집을 지나다가 송석이 아껴 기르던 월사매 화분이 깨져 마당에 뒹굴고 있는 것을 보았다. 이를 집에 옮겨다 놓고 매화가 피고 질 때까지의 각 가지의 모습을 친구인 추거 홍종우와 함께 시로 읊어 첩을 만들었다. 이들은 이후 한 첩을 더 만들어 각자가 나누어 갖고, 서문은 친구인 운양 김윤식(1835-1922)에게 받고, 각 첩 앞면에 당대 매화로 이름이 높던 집안 어른인 석련 이공우에게 두 폭 씩 그림을 받았다.
이것이 바로 '양교영매첩'으로 연안이씨 집안에 전해오는 매화 시첩이다.

일반 전시장에서 좀처럼 볼수 없었던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매화 완상과 문사들의 다양한 매화시를 볼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포스코미술관은 6일부터 어몽룡 조속 조희롱 강세황 장우성등이 화폭에 피어낸 '梅花, 피어 천하가 봄이로다'전을 펼친다.

매화도, 매화첩, 매화시 등 16세기 ~ 20세기초까지 지독한 매화벽을 지닌 문인묵객들의 작품 90여점을 선보인다.

포스코갤러리 김윤희 큐레이터는 "매화는 추위의 고통을 이겨내고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꽃"이라며 "군자의 꽃, 매화를 주제로 여는 이번 전시는 다양한 옛 그림 속에 나타난 선인들의 절개와 지조어린 삶의 지혜를 이해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갤러리는 미술관앞 정원에 백매와 홍매나무를 심어 전시기간내내 매화의 개화를 직접 살펴볼 수 있게 했다. 전시는 3월20일까지.(02)3457-1655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