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욱 고려대 교수, 소금 섭취 막아주는 단백질 발견

2013-01-31 11:11
  • 글자크기 설정
황선욱 고려대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지나친 소금 섭취를 막아주는 ‘짠맛 단백질’이 발견돼 고혈압 등 질병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전망이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은 황선욱 교수가 영국케임브리지대 윌리엄 셰이퍼 교수팀과 예쁜꼬마선충 연구를 통해 짠맛 수용체 단백질 ‘TMC-1’의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30일 밝혔다.

이 단백질은 짠맛을 불쾌한 맛으로 인지해 회피하도록 함으로써 체내의 소금 농도가 더 높아지지 않도록 가능케 한다.

예쁜꼬마선충은 몸 길이 1㎜ 정도의 선충류로 사람과 유전정보적 특성이 닮아 노화나 발생, 신경질환 연구에 많이 사용된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에 존재하는 미지의 단백질을 조사해 TMC-1이 나트름 증가를 감지해 뇌신경에 알려주는 이온채널임을 확인했다.

이온채널은 특정 이온들을 선택적으로 세포 안팎으로 출입시키는 세포막 단백질을 말한다. 평상시 닫혀 있다가 특정물질이나 자극에 반응해 열린다.

소금은 생명유지에 필수적이나 과도할 경우 체내 이온 균형이 깨지고 고혈압 등 질병을 일으킬 수 있어 항상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황 교수는 “통증감각 신경세포막에 분포하는 TMC-1이 높은 소금 농도로 인해 활성화되면 세포내부로 양이온이 흘러 들어오고 이런 이온의 흐름이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예쁜꼬마선충의 회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라며 “다양한 감각 이상이나 질병원인 규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