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니치신문은 26일 독일 코메르츠방크가 최근 펴낸 고객용 보고서에서 “일본식 모델은 (국채 등) 공적 채무가 (은행의 국채 구입 자금원인) 개인이나 기업의 금융자산을 넘지 않을 때에만 기능한다”고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코메르츠방크는 이르면 2018년, 늦어도 10년 후에는 일본의 공적 채무가 금융자산 규모를 웃돌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채를 국내에서 소화할 수 없게 되면 해외 투자가의 요구대로 채권의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앞서 미쓰비시 도쿄UFJ 은행도 2010년 4월에 낸 보고서에서 당시 94.8%였던 일본 내 국채 소화 비율이 2020년도에는 64.6%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