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정부와 재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 21일 삼성과 현대차 등 4대 그룹의 공시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각 그룹으로 조사관을 파견했다.
이는 공정위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업무보고를 마친지 일주일 만에 진행된 4대 그룹 조사로 지난해 11월 한화·두산 등 7개 그룹 이후 두 달 만이다.
재계는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공정위가 확대경을 들이대는 것에 불편하다는 반응이다. 4대 그룹의 동시 타깃도 이례적이나 ‘박근혜 당선인 코드 맞추기’ 행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현재 공정위는 이달 말까지 조사를 펼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계열사 간 거래, 이사회 운영 현황, 그리고 재무 현황 등이 주요 초점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난해 두산 등 7개 재벌그룹의 공시 위반 점검과 별반 다를 게 없는 통상적인 절차”라며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코드 맞추기 행보라는 지적은 온당치 않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재계는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공정위의 실적 쌓기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경제민주화’의 본보기로 사정기관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한편 공정위는 지난해 11월 한화·두산·STX·CJ·LS·대우조선해양·동부 등 7개 그룹의 공시위반을 점검해 총 5억3479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