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후속조치에 지경부 "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2013-01-22 17:5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정부 조직개편의 후속조치로 지식경제부의 정보통신기술(ICT) 분야가 미래창조부로 이관이 확정됐다. 여기에 우려했던 우정본부사업까지 미래창조부로 흡수되면서 조직내 분위기가 술렁이고 있다.

22일 진영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은 서울 삼청동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정부 조직 개편 후속 조치'에 대해 발표했다.

진영 부위원장은 "미래창조과학부는 창의력 상상력에 기반한 창조경제를 활성화 하려는 미래의 성장동력 발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 할 수 있도록 복수차관을 둬 각각 과학기술과 ICT를 전담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경부측 분위기는 그야말로 '우려하던 일이 터졌다'는 침울한 분위기다.

지경부 고위 관계자는 "ICT의 연구개발 진흥기금은 7000억원에 이르는 정도로 예산면에서 상당한 조직"이라면서 "여기에 14개의 산하기관이 있어 그 규모면에서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물론 정부가 ICT전담 조직을 만들었다는 측면에서 어느정도 업무 이관을 예상하고 있었다"면서 "하지만 과거정보통신부 기능들 대부분이 이관된다는 점에서 안타깝다"고 심정을 토로했다.

또한 이번 조직개편으로 인해 지경부의 위상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또 다른 지경부 관계자는 "통상분야의 예산은 50~60억억정도밖에 안되고 관련 산하기관도 없다"며 이는 "ICT를 내주는 것에 비해 예금면이나 규모면으로 큰 손실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여기에 우정사업본부의 이관도 지경부 조직 축소에 한 몫을 더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우본에 근무하는 약 3만명 가까운 인력이 빠진다고 생각하니 허탈하다"며 "외부로 빠지는 직원이 많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조직의 기능이 축소될 것을 의미한다"고 우려했다.

다만, 지경부는 외교통상부의 통상기능이 옮겨온 점을 위안으로 삼고 있는 모습이다. 통상기능의 핵심인 산업부분에 있어 산업계의 입장을 잘 대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어느부처보다 적격이라고 자부해왔기 때문이다. 실제 FTA를 둘러싼 통상업무에서 지경부와 외교부간 적지 않은 마찰이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