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6년간 '빈혈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 발표했다.
2011년 여성 빈혈 환자는 총 37만 8000명으로 남성의 11만명 보다 3배 이상 많았다.
2006년 37만 6000명이었던 빈혈 환자 수는 2011년 48만 8000명으로 약 30%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3.2%로 가장 많았고, 30대(17.0%)·9세 이하(12.6%)·50대(12%)가 뒤를 이었다.
빈혈과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1년 821억원으로 최근 6년 새 78%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상현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빈혈은 어지러움·운동 시 호흡곤란·전신 무력감 등 다양한 증세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40대 여성의 경우 아직 생리 중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출산 후 발생한 빈혈이 제대로 치료되지 않고 누적된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빈혈의 경우 전반적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평소 균형 있는 식생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