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8일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국토해양부와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생 주거안정 지원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을 보고받았다.
관계 부처는 지난해까지 추진한 대학생 주거안정을 보고하는 자리에서 기숙사 건설의 경우 공공기금 회수기간이 20년 이상이므로 향후 학교별 기숙사 수용인원 감소위험 등을 감안해 대학캠퍼스 내부와 외부에 적절히 안배하겠다고 밝혔다.
대학캠퍼스 내부에서는 사립대 공공기숙사 지원에 올해 1372억원(국민주택기금 864억원, 사학진흥기금 508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내년 사업지원 대학은 오는 11월까지 선정 완료한다.
올해부터 운영을 개시하는 공공기숙사에 대해서도 지속 관리에 들어간다. 올해는 경희대 124명, 내년에는 경동대, 단국대 천안, 중부대, 세종대 등 7개 대학 4791명, 2015년 광운대, 단국대 죽전, 상지대, 서원대 등 5개 대학 3724명 공공기숙사가 운영된다.
사립대 자체재원 기숙사는 지난해 획정된 12개 대학 1900명 수용 규모의 설계·사업자 선정·공사 착공 등 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국립대 기숙사는 올해 BTL 기숙사 건립을 추진, 오는 5월 시설사업기본계획 고시와 12월 실시협약체결과 실시계획 승인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대학캠퍼스 외부는 오는 2017년까지 매년 3000호 전세임대를 추가 공급한다. 공급물량은 재학생 추가 수요와 신입생 물량을 고려해 산정했다.
연합기숙사는 올해 1~2개 사업을 신규 추진, 부지물색, 지자체와 협의 중이다. 지난해 추진된 서대문구 홍제동 부지는 내년부터 운영된다.
한편 지난해 확정된 은평구 녹번동에 건립되는 학생종합복지센터는 오는 2015년 3월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장학재단이 추진 중이며 저소득층 지방출신 대학생 1000명 규모를 수용할 수 있다.
이 센터가 완공되면 월 기숙사비 15만원 수준으로 저소득층 지방출신 대학생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쾌적한 주거 환경이 제공 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