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생산자 물가, 3년 2개월來 최대폭 하락…전년比 1.2% ↓

2013-01-17 06:2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3년 2개월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2% 하락했다. 10월(-0.5%)부터 3개월째 마이너스 행보다.

내림폭으로는 지난 2009년 10월(-3.1%) 이후 가장 크게 내린 것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우선 농림수산품은 축산물(-20.3%)과 수산물(-2.4%)의 영향으로 3.8% 하락했다.

공산품 물가는 제1차금속제품(-11.8%)과 석탄 및 석유제품(-2.7%)을 중심으로 2.7% 내렸다.

서비스업은 금융 및 보험(-0.3%)을 제외하고는 모두 상승해 1.2% 올랐다. 지난해 전력, 가스 및 수도는 2.8% 상승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중 생산자물가는 0.7% 상승했다. 이는 6.7% 오른 지난 2011년보다 오름폭이 크게 줄어든 수준이다.

이 기간 특수분류별로는 식료품이 0.3%, 신선식품이 9.6% 상승했다.

이에 반해 에너지와 IT는 각각 0.2%와 2.6% 하락했으며, 신선식품 및 에너지 이외도 1.5% 떨어졌다.

한은은 올해부터 물가지수 기준년을 기존의 2005년에서 2010년으로 변경함에 따라, 이에 맞춰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와 총산출물가지수도 선보였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물가변동의 파급과정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 공급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의 가공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 지수다.

쉽게 말하면, 생산자의 생산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높을수록 투입비용이 많이 들어가 생산여건이 좋지 않다는 뜻이다.

지난 12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년동월과 견줘 3.5% 하락했다. 지난 7월(-0.6%)부터 6개월 연속 내림세다.

최종재는 자본재와 소비재가 각각 3.8%와 1.5% 하락하면서 0.8% 떨어졌다. 중간재는 3.5% 하락했고 원재료는 10.2% 대폭 하락했다.

연중으로는 중간재가 0.5% 떨어진 반면 최종재와 원재료는 각각 1.5%와 3.0% 상승하면서 0.4% 올랐다.

총산출물가지수는 국내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출하 외에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 기준으로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다.

생산자의 판매가격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매가격이 높으면 그만큼 생산자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2월 이 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6% 하락했다. 이 역시 공급물가지수와 마찬가지로 지난해 7월(-0.4%)부터 6개월째 마이너스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국내출하가격과 수출이 각각 1.2%와 7.5% 모두 하락했다.

농림수산품 물가지수는 국내출하가격이 3.8%, 수출은 무려 18.8%가 떨어지면서 4.9% 내렸다.

공산품은 국내출하가격과 수출이 각각 2.7%와 7.4% 모두 하락하면서 4.2% 낮아졌다.

반면 광산품 물가는 0.6% 올랐고 전력, 가스 및 수도와 서비스도 각각 2.8%와 1.2% 상승했다.

총산출물가지수는 지난해 연중 0.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