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위원은 이날 서울 삼청동 인수위원회에서 진행되는 인수위 간사단 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 경제가 축약형에서 다시 선도형으로 가야 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리 경제가 저출산 고령화, 저성장 기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인데 이런 상황에서는 경제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그런 데 역량을 모을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경제부총리제가 향후 새로운 중산층 70% 시대를 만들어나가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철학인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또 다른 주체로서 활동해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 인수위원은 이번 정부조직개편으로 큰 행정부가 됐다는 평가가 있다는 질문에 “지금 시대가 정확하게 크다, 작다는 단선 방향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며 “국민을 위해 진정으로 봉사할 수 있는 경제체제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 지적도 있지만 어제 발표한 내용은 장관급이 3명 폐지되고 부처가 2개 신설되는 형태이므로 전반적으로 많이 커졌다는 부분은 다시 생각해 볼 부분도 있다”고 밝혔다.
향후 청와대 조직개편 시점에 대해서는 “최종단계라기보다 거의 많이 정리됐다”면서 “발표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강 인수위원은 여야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협의가 없었다는 지적에는 “발표 내용이 기본적으로 공약사항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언론에서 확인되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나오는 상황에서 조금 일찍 발표하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조직개편안의 국회 통과 전망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낮은 자세로 잘 설득하고 열심히 소통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많은 의견을 청취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안전행정부의 명칭이 앞뒤만 바꾼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나중에 개편한 실제 내용을 봐 달라”며 즉답을 피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거대 부처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는 질문에는 “창조경제를 구현할 수 있는 필요한 기능들을 모았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