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가 이 대회에 참가하려는 지방자치단체 등에 차기정부 출범 이후로 일정을 연기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중국 하이난(海南) 성에서 오는 19∼30일 남한과 북한, 중국, 태국 등 4개 팀이 참가하는 '제3회 인천평화컵 국제유소년 축구대회'가 열린다고 지난 2일 밝혔다.
강원도도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기념 국제 여자청소년 축구대회'가 오는 24~27일 중국 하이난다오(海南島) 일원에서 열린다고 지난 3일 밝혔다. 대회에는 남북한을 포함해 중국, 미국 등 4개국 선수들이 참가한다.
두 대회 모두 중국 하이난성 축구협회가 주최하고 이 협회와 사단법인 남북체육교류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형식으로 개최가 추진되고 있다.
4ㆍ25 여자축구팀, 4ㆍ25 축구단 산하 유소년팀 등 총 90여명으로 구성된 북측 선수단은 전지훈련을 겸한 대회 참가를 위해 이미 10일께 현지에 도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남측 대표단(인천유나이티드 유소년팀인 광성중학교, 강원도립대 여자축구팀)의 참가에 대해 정부가 일정 연기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3국에서의 스포츠 경기이지만 남북이 시합하려면 통일부로부터 사전에 북한주민접촉신고를 내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대회 참가측 관계자는 13일 연합뉴스에 "통일부가 북한주민접촉 신청을 해도 승인을 해주지 않겠다면서 새 정부 출범 이후로 대회 일정을 연기하라고 요구했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대회 참가 측은 통일부에 북한주민접촉신청도 내지 못한 상황이다.
그는 "모든 대회 일정이 이미 세팅돼 연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정부가 승인을 내주지 않으면 남북간 경기가 불발돼 대회 파행이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통일부가 대회 참가 연기를 요구한 배경에는 지난해 12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이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통일부는 북한의 로켓 발사 이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이라면서 “앞으로 방북이나 남북교류협력 사안을 신중히 조정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다음 달 출범하는 새 정부의 의중을 살피는 것일 수도 있다. 인수인계 작업이 진행 중이고 새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 구체적인 액션을 하기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대회 참가 측으로부터 아직 구체적으로 북한주민접촉 신청이 들어오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승인 여부에 대해 정해진 게 없다”는 원론적인 얘기만 되풀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