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은행(우리, 기업, 신한, 하나, 산업, 대구, 경남, 외환, 씨티, 농협, 부산, 수협)은 1분기 중 수수료를 업계 평균인 0.65% 이하로 낮출 예정이다. 국민, SC, 전북, 광주, 제주은행은 이미 수수료를 0.5%로 낮췄다.
자산운용사들도 1.05~1.88%인 연금저축펀드 수수료를 0.94~1.54%로 낮춘다. 상반기 중 업계 평균을 초과하는 16곳이 수수료 인하를 단행할 방침이다. 업계 평균 수준은 적립금 대비 운용보수 0.54%, 판매보수 0.95%, 수탁보수 0.05% 등이다.
보험사의 경우 설계사 등을 통한 대면채널 연금저축보험의 예정 신계약비를 생명보험사 300%, 손해보험사 500% 수준에서 1분기 중 300% 이하로 통일한다.
방카슈랑스를 통한 예정 신계약비는 대면채널 상품보다 낮은 250% 수준으로 조정된다. 보험사는 수수료를 매월 납입 보험료에 비례해 선취수수료를 부과한다. 하지만 은행과 자산운용사는 적립액에 비례해 후취수수료를 부과한다.
온라인상품 수수료는 대면채널 상품보다 저렴하게 판매할 예정이다. 우리, 하나, 산업, 부산은행 등은 상반기 중 0.60~0.65%인 수수료를 대면채널보다 0.1~0.15%포인트 낮은 0.5%로 낮춘다.
8개 자산운용사는 대면채널보다 수수료가 0.4~0.5%포인트 낮은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보험사는 수수료를 대면채널 절반인 150%로 낮춰 온라인전용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연금저축 가입자가 다른 금융회사로 계약을 이전할 때 부과되는 계약이전 수수료는 현재 최고 5만원이다. 하지만 1분기 78개 금융회사가 이런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고, 10곳은 5000원 이하로 줄인다.
박흥찬 금감원 복합금융감독국장은 "이번 수수료 인하로 금융소비자들이 연간 265억원을 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권역별로 수수료 인하가 계획대로 추진되는지 계속 모니터링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