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 단체 '참여과학자연대'의 데이비드 라이트 박사는 12일 미국의소리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우리 해군에 의해 인양된 '은하 3호'의 1단 추진체 잔해에서 적연질산(RFNA)이 발견됐고 로켓 연료로 등유가 사용됐다는 점을 들어 "이는 모두 1950년대 스커드 미사일에 사용된 '구식연료'다"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사실은 북한의 로켓이 선진적인 기술이 아닌 옛 소련이 아주 오래전 개발한 초기의 로켓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북한이 다시 로켓 시험 발사를 강행할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라이트 박사는 "적연질산과 등유 등을 로켓 연료로 사용했다고 해서 '은하 3호'가 탄도미사일 개발용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며 "불에 잘 타는 등유는 로켓용도에 따라 대륙간탄도미사일과 우주발사체 모두 1단(로켓)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개발하려 했다면 더욱 강력한 능력을 갖춘 시스템을 개발했을 것이며 좀 더 강력한 연료산화제를 사용해 사거리를 늘리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