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현재 12개 도로축 115.3㎞에서 운영 중인 중앙버스전용차로를 19.2㎞ 추가해 2016년까지 134.5㎞로 확대하고, 2017년부터는 부도심을 동-서로 연결하는 간선 도로에도 중앙버스전용차로 구축을 검토해 중앙버스전용차로 연계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오는 2016년까지 추가 설치될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은 모두 5개 구간이다. 이미 운영중인 구간 중 단절된 구간을 잇거나 중앙 정부가 추진하는 수도권 BRT(간선버스급행체계) 노선과 연계되는 시계구간 등지에 이뤄진다. 서울시는 5개 구간의 건설을 통해 기존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올해 안에 김포공항~양화교 구간의 공항로 공항버스전용차로가 전구간 연결될 예정이다. 현재 공항로 중앙버스전용차로는 KT공항지사~발산역 구간(1.8㎞)이 단절돼 있다. 또한 내년 말까지 양화대교 북단에서 이대역까지만 연결된 양화·신촌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서대문사거리까지 2.2㎞ 연장된다.
2015년에는 천호대로 확장공사 완료와 연계해 천호대로 구간 중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지 않은 아차산역~천호역(3.3㎞) 구간에, 2016년에는 사당역환승센터 건립과 연계해 동작대로 시계구간(2.2㎞)과 헌릉로(9.7㎞)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추가 설치한다.
이같은 5개 구간의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연장 및 신설된 후 시는 부도심간을 연결하는 도로축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 이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버스 통행속도는 개별 도로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첨두시 통행속도는 평균 30% 정도 개선되면서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편리해진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또한 정시성 확보에도 크게 기여했고, 이같은 개선 효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다니는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수도 늘었다고 덧붙였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확충하고 기능 개선을 차질없이 추진해 대중교통 이용이 자가용 승용차보다 더욱 편리하고 경제적인 환경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겠다"며 "앞으로 서남권 돔구장 개장에 대비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확장을 비롯, 교통여건 변화에 따라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시민 불편이 없도록 운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