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111개 상장 건설회사 경영을 분석한 결과 이자보상비율이 222.5%로 전년 동기 대비 39.0%포인트 하락했다.
이자보상비율이란 영업손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눠 100을 곱한 것으로 기업의 이자부담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이자부담 능력이 좋다는 뜻이고 100% 미만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한다는 의미다.
비율이 100% 미만인 상장 건설사는 전체의 50.5%인 56개사에 달했다. 상장 건설사 중 절반은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처럼 건설사들의 자금사정이 악화된 이유는 건설경기 침체로 영업이익이 줄고 차입금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건설사 부채비율은 공사선수금 감소 등으로 175.4%에서 168.2%로 7.2%포인트 하락한 반면 차입금의존도는 25.8%로 0.5%포인트 높아졌다.
매출액영업이익률은 5.2%에서 4.1%, 매출액 세전이익률은 4.5%에서 2.4%로 각각 떨어지는 등 건설사 수익성도 악화됐다.
전체 건설 매출액은 87조8000억원으로 7.1% 증가했지만 국내 매출(54조5000억원)은 5.5% 감소했다. 해외매출(33조3000억원)이 37% 늘어 국내 건설매출 부진을 만회했다.
상위 10위 이내 업체 건설매출액은 지난해 48조2000억원(3분기 누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42조8000억원) 대비 6조6000억원 가량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11위 이하 업체 매출은 39조1000억원에서 39조6000억원으로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쳐 건설사 간 매출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심화했다.
건설협회는 건설사들이 경영상태 부진에서 벗어나기 위해 구조조정과 입·낙찰 시스템 개선, 금융권의 가중금리 해소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