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2/03/26/20120326000406_0.jpg)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직장인들의 생활이 갈수록 팍팍해지면서 한숨이 커지고 있다. 연초부터 생활물가 고공행진에 이어 기름값 급등, 지붕 뚫린 전셋값, 결혼시즌 축의금까지 겹치면서 '유리지갑'이 더욱 얇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성남시 분당의 모 IT 중소기업에 다니는 4년차 직장인 박모씨(32). 박씨는 오는 10월 결혼을 앞두고 있지만 요즘 웃을 일이 별로 없다.
박씨의 월급은 230만원, 실수령액은 215만원이다. 혼자서 생활하기에는 다소 여유가 있을 거 같지만 사정은 녹록지 않다. 먼저 생명보험·연금보험·화재보험으로 월 50만원이 빠져나가고 주택청약적금과 정기적금으로 40만원이 꼬박꼬박 인출된다.
여기에 원룸 월세에다 전기료·수도세·도시가스비 등 준조세 70만원이 추가로 부담되고, 휴대폰·인터넷 등 통신비 15만원이 급여통장에서 출금된다. 이렇게 박씨가 한 달을 지내고 나면 통장에 남는 용돈은 40만원 정도에 불과하다.
승용차는 주말에 용무가 있을 때만 사용하고 있지만, 휘발윳값이 2100원을 돌파하면서 유류비도 만만치 않은 형국이다. 최근에는 점심값 등 의식주 물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는 데다, 결혼시즌을 맞아 지인들의 축의금까지 늘어나면서 저축은 커녕 가계가 마이너스로 돌아설 판이다.
실제로 한 취업포털이 전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점심비용에 대해 파악한 결과, 올해 직장인들의 평균 점심값 지출비용은 역대 최고치인 6007원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0년 기준 직장인들의 평균 점심식사 비용이 5372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2년새 10% 이상 오른 셈이다.
각종 채소류와 육류, 밀가루, 양념 등 식재료는 물론 연료비와 식당 임대료 등이 지난해부터 크게 오르면서 이들 비용이 음식가격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도 꾸준히 올라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평균 50%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지난해 6월 이후 최고치로 8개월 연속 오름세다.
휘발윳값도 꺾일 줄 모르고 매서운 기세로 오르고 있다. 지난 25일 전국 휘발유 평균가격(2041.05원)은 전날보다 0.62원 오르면서 지난 1월 5일부터 80일 연속 상승하는 등 사상 최고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4~5월 결혼 성수기가 다가오면서 축의금 부담도 한층 커졌다. 특히 5만원권이 나와 3만원 수준의 축의금은 눈치가 보일 수밖에 없는 상황. 한 직장인은 "청첩장만 날아오면 가슴이 탁 막힌다"면서 "4~5월 두 달만 경조사비로 50만원은 지출될 것으로 보인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사정이 이렇지만 물가상승률은 늘 월급 인상률을 앞서면서 올해도 직장인들의 시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올해 기업의 체감경기 등을 감안해 임금을 2.9% 이내에서 인상하는 게 적정하다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이는 보수적인 전망치를 내놓는 한국은행의 올해 물가상승 전망치(3.3%)보다도 밑도는 수준이어서 직장인들의 생활고는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