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은 27일 고위급 전략대화를 갖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김정일 사망 이후 최고위급 협의다. 원래는 포괄적 협의체지만 김정일 사망 이후라는 특수한 상황때문에 한반도 정세 대응이 최대 현안이 됐다.
양측 모두 최근 소통 논란을 의식한 듯 전략적 소통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장즈쥔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전략대화에서 "복잡하고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는 아ㆍ태 정세 속에서 양국이 제때 전략적인 소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주요 의제 였던 6자회담 재개문제에 대해 "중국측은 원론적 입장만 밝힌 것으로 알려졌지만, 김정일 사후 양국이 공통의 상황인식과 대응 기조를 조율해낸 계기라는 점에 의미를 둔다"고 말했다.
특히 양국은 중단된 6자 회담 재개를 위한 대화 노력들이 가능한 조기 추진돼야 한다는 데에도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한 외교소식통은 “이변이 없는 한 북미 제3차 대화는 1월에 열릴 것”이라며“새해 1월 중순 예정돼 있는 한중 정상회담과 비슷한 시점에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내년 1월은 한반도 정세의 주요 현안들이 몰려 있는 시점으로, 1일은 북한 노동신문 등 신년 공동사설과 2일은 이명박 대통령 신년연설, 4일 국방부의 대통령 업무보고, 5일 외교·통일부 업무보고, 8일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의 생일 등이 예정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김정일 사후 어느때 보다 북미회담이나 6자회담에 적극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그는 “북한에 대해 수위조절에 나선 중국은 2020년까지 내수시장을 공고히 해야 하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부담스런 상황”이라며 “영양지원 수준이지만 미국이 도우려 하고 있고,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의 글로벌커뮤니티를 해야하는 입장에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고 나오려 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은 김정일 사후 주변국인 한국·미국·일본·러시아에 “북한을 자극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달했을 정도로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 속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을 그 어느 때보다도 부각시키고 있다.
북한 후견인을 넘어 한반도 안정 관리자로서 포스트 김정일 시대 동북아 정세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친 셈이다.
한편 이날 열린 전략대화에서 한중 양국은 특히 김정일 사망 직후 소통이 매끄럽지 못했다는 여론을 의식한 듯 소통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정부는 우선 중국통들로 통일외교 라인을 구성해 한반도 4강외교를 공고히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김영완(40,외시 27회) 주중 한국대사관 소속 참사관을 통일부장관 정책보좌관에 내정한 것이 그것이다.
또 차기 주 미국 대사관을 전 통일부 장관이었던 현익택 장관을 고심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략이다. 김 참사관은 류우익 통일부장관이 주중대사 재직 시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같이 일했다.
통일부는 또 통일외교 강화 차원에서 현재 미국 워싱턴DC, 일본 도쿄, 중국 베이징 등 세 곳에 나가 있는 통일 안보관을 독일과 러시아에도 파견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