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승기 교수 |
수모세포종은 치료율의 향상에도 약 3분의 1의 환자가 말기암으로 진행되며, 치료의 강도가 높아 관련 합병증도 적지 않았다.
김승기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 신경외과 교수와 박웅양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는 수모세포종을 앓고 있는 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조직의 유전자 변이와 발현양상을 관찰하는 다층생명정보 분석 연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 |
박웅양 교수 |
Wnt(윈트) 유전자의 발현은 좋은 예후를 보였고 MYCC, MYCN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거나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못했다.
김 교수는 “수술 후 종양조직에서 Wnt 유전자, MYCC·MYCN 유전자의 발현과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을 확인하면 좋은 예후와 나쁜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항암방사선 치료의 강도와 기간을 조절해 환자들의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재단과 보건복지부의 연구비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미국 신경종양학회지 온라인판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