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미 싱크탱크 우드로윌슨센터는 베트남인민군(PAVN) 자료를 공개, 1966년 9월 21일 당시 베트남 중앙군사위원회는 북한이 제의한 공군부대 파병에 대해 논의했음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회의서 ‘베트남 독립영웅’ 보 구엔 지압(武元甲) 장군은 북한군과 베트남군의 지휘체계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조건으로 ‘스페셜리스트(specialist)’로 불린 북한 공군 부대의 참전을 승인했다.
이후 같은달 25일부터 30일까지 반 티엔 둥 베트남 참모총장과 최광 북한 인민군 총참모장이 참석한 가운데 양측 군사당국은 북한 공군부대 파병을 위한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 마지막날엔 양국 대표가 합의문에 서명했다.
모두 6개항으로 구성된 합의문은 1966년 10월말부터 11월까지 북한군이 베트남군 미그17 중대에 ‘스페셜리스트’들을 보내는 것을 시작으로 모두 3차례에 걸쳐 파병하는 것이 주내용이다.
또 북한의 스페셜리스트 중대는 베트남 공군사령관의 지휘를 받으며, 기술지원 등은 베트남군이 한다는 내용 등도 포함됐다.
합의문에는 이와 함께 북한군의 거주시설, 생활물자, 수송장비, 의약품 지원과 함께 보상 문제도 언급하고 있다. 중앙군사위 보고서는 언급했으나 이에 대해 상세하게 밝히지는 않았다.
우드로윌슨센터가 냉전시대 북한 비밀문건을 발굴해 영어로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해 진행 중인 ‘북한 국제문서 연구사업(NKIDP)’의 일환으로 이달초 공개한 이 문서는 전직 미 중앙정보국(CIA) 직원으로 베트남전 전문가인 멀 프리비나우가 작성했다.
베트남어 전문요원으로 베트남전에도 참전했던 프리비나우는 보고서에서 “북한군의 베트남전 참전 여부는 베트남군 역사서 등에서 일부 확인됐지만 구체적인 규모와 구성, 활동 등이 공개된 적은 이번이 처음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