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쇄신 방안을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는 이번 연찬회에서 각 의원들의 의견은 현 지도부인 ‘홍준표 체제’를 유지하면서 정책쇄신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입장과 현 지도부가 퇴진한 뒤 박근혜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으로 갈렸다.
다만 참석자들에 따르면 연찬회의 전반적 분위기는 ‘현 지도부 유지론’이 우세하다.
쇄신파인 정두언 의원은 “당 쇄신의 출발은 홍준표 대표의 사퇴에서 출발한다”며 강한어조로 현 지도부 퇴진과 박 전 대표의 전면 등장을 주장했다.
정 의원은 “박 전 대표가 대표를 맡으라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인 역할을 하면된다”며 “총선에서 지면 박 전 대표는 책임에서 자유롭겠는가. 절대 아니다. 벌써 안철수 교수와 지지율이 역전됐다”고 강조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권한만 있고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은 곤란하며, 권한과 책임이 같이 가야 한다”며 “새로운 체제가 최선이며, 시간이 걸릴지 몰라도 제대로 절차를 밟아서 하는 것이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해 지도부 교체론에 힘을 실었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도 “연찬회장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 정당 개혁 방안 중 하나로 ”정당 대표, 최고위원, 각종 위원장 등 많은 자리를 없애야 한다“며 ”당원은 있되 당 대표 등 군림하는 기구ㆍ기관은 없애야 하며, 이것이야말로 정당 민주화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황영철 의원은 ”쇄신과 국민의 요구사항을 어떻게 풀어갈 지 홍 대표에게 숙제로 남겨졌다“며 ”홍 대표가 빠른 시일내 화답할 역량을 보여줘야 하고, 올해 안에 답을 못내놓으면 다시 신임 문제가 거론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친박계 의원들은 박 전 대표의 조기 등판론에 회의적 반응을 보이며 현 지도부의 유지론을 주장했다.
친박 윤상현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박 전 대표가 조기 등판하는 것은 시기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적절치 않다. 안 원장은 아웃복싱하는데 박 전 대표가 인파이팅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안맞다“면서 ”일부 수도권 친박 의원이 박근혜 조기등판을 얘기하는 것은 우리와 생각이 다르며, 박근혜가 조기 등판해서 당 대표를 맡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친박인 이혜훈 의원 역시 ”박 전 대표가 지금 (조기등판을) 안하겠다는데 얘기해봐야 뭐하느냐“며 회의론에 무게를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