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원조총회 공식일정 시작

2011-11-29 17:00
  • 글자크기 설정

潘총장·클린턴 美국무 저녁 입국

(부산 벡스코=강정숙 기자) 새로운 개발원조의 청사진과 패러다임을 제시할 제4회 세계개발원조총회가 29일 부산 벡스코에서 사흘간의 공식일정을 시작했다.

총회는 이날 오전 9시 부산 벡스코에서 세계 160여개국의 정부ㆍ국제기구ㆍ시민사회ㆍ의회대표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첫 전체회의를 열었다.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환영사에서 “원조의 효과가 실질적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찾는게 급선무”라면서 “그동안의 원조 관련 국제적 합의인 파리선언과 아크라 행동계획의 성과를 토대로 새로운 개발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청사진과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첫 전체회의는 지난 2005년 파리 선언과 2008년 가나 아크라 행동계획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원조 효과성’을 넘어 ‘개발효과성’에 중점을 둔 새로운 합의와 행동계획을 논의했다.

전체회의에 이어 오전 분과세션에서는 △주인의식과 책임성 △수원국 시스템 △원조분절 △원조투명성과 예측성 △원조개발성과를 논의했다.

오후에는 개발원조를 '원조효과성'에서 '개발효과성'으로 전환하기 위한 분과세션을 열어 △역량배양과 지식교환 △인권기반 접근 △취약과 분쟁 △남남협력과 삼각협력 △민관협력을 토론했다.

참가국들은 회의에서 원조가 수원국의 개발에 실질적 효과를 주려면 원조공여국이 주도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원국의 주인의식과 책임성 하에 스스로 개발정책을 세우고 그에 따라 공여국들이 맞춤형 원조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원국은 원조자금이 효율적으로 집행되도록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민주적 시스템과 지배구조를 구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참가국들은 이와함께 기존 세계 개발원조정책을 이끌고 있는 서구 선진국과 새로운 공여국으로 등장한 중국, 브라질, 인도 등의 신흥국들이 새로운 포괄적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남북(선진국-개도국), 남남(개도국-개도국)협력, 삼각(개도국-개도국-선진국)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총회 개막식은 30일 오전 9시30분에 열린다.

개막식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총리, 라니아 알 압둘라 요르단 왕비 등 세계 160여개국의 정상ㆍ각료급 정부대표,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과 장 핑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원장 등 70여개국 국제기구 대표, 의회ㆍ시민사회ㆍ학계 대표가 참석한다.

반 사무총장과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29일 저녁 김해공항을 통해 입국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